ETF 수수료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수수료 = 총 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 수수료
1. 총 보수 (보여지는 수수료)
총 보수는 ETF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 비용 항목으로, 매년 ETF의 자산에서 차감되는 고정 비용입니다. 각 수수료는 ETF의 투자 전략을 실행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운영 및 행정 비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운용 수수료: ETF 자산을 운용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으로, 자산운용사의 투자 전략 실행, 리서치, 리밸런싱 등이 포함됩니다. 대부분의 투자자가 가장 먼저 확인하는 수수료로, 운용 수수료가 낮을수록 투자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판매 수수료: ETF가 투자자들에게 판매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특히 펀드를 직접 판매하는 펀드에서 중요합니다. 온라인 거래를 통해 ETF에 접근할 경우 이 비용은 절감될 수 있습니다.
- 수탁 수수료: ETF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으로, 수탁은행이나 신탁 회사가 자산을 보관하며 이에 대한 수수료를 받습니다. 특히 대형 ETF의 경우 수탁 비용이 낮은 편입니다.
- 사무관리 수수료: ETF 운영과 관련된 행정 및 보고 업무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비용입니다. ETF 운영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수료 항목으로, 투자자들에게 주요 보고서와 재무 정보를 제공하는 데 소요됩니다.
2. 기타비용 (보여지지 않는 수수료)
총 보수 외에도 ETF에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비용이 있습니다. 이 비용들은 직접적으로 매년 차감되지는 않지만, 특정 활동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으로 부과될 수 있습니다.
- 회계감사비: 회계감사를 통해 ETF의 재무 상태와 운영의 투명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신뢰할 수 있는 자산을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비용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지수 사용료: ETF가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경우, 해당 지수를 제공하는 업체에게 지불해야 하는 비용입니다. 예를 들어,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S&P Global에 사용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 예탁원 결제 보수: ETF 자산이 예탁원에 안전하게 보관되고 결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입니다. 이는 주로 ETF의 자산이 안전하게 관리되고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비용으로, 투자자들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 채권평가 보수: ETF가 채권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채권의 시장 가치를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 발생합니다. 채권 평가를 통해 ETF의 자산 가치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습니다.
- 해외자산 보관 수수료: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ETF의 경우, 해당 자산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는 특히 글로벌 ETF나 해외 자산에 집중 투자하는 ETF에서 중요한 비용 요소입니다.
3. 매매 중개 수수료 (보여지지 않는 수수료)
ETF는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기 때문에, ETF를 사고팔 때마다 중개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빈번한 매매는 수익률을 잠식할 수 있으므로, 장기 보유 전략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거래 빈도에 따라 매매 중개 수수료가 누적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해 거래 빈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증권사가 보여주는 수수료는 "총 보수"만 언급한다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 하면 기타비용과 매매 중개 수수료는 공지가 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따로 찾아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기타비용 및 매매 중개 수수료는 어디서 알 수 있을까요?
Kodex 미국S&P500(H) 기준으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는 삼성 증권에서 검색해 온 총 보수입니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페이지를 참조 부탁드리겠습니다.
Kodex 미국S&P500(H) | Kodex
Kodex ETF 상품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www.samsungfund.com

위와 같이 적혀있다면 우리는 보통 수수료가 0.001% 수준이구나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하지만 투자설명서를 살펴보면 조금 다릅니다. 투자 설명서는 아래 버튼을 누르면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보시는 바와 같이 총 보수와 총 보수 비용은 다릅니다. 즉, 실제로 부담해야할 수수료는 0.0099%가 아니라 16배수준인 0.1606%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통해 일일이 모든 투자설명서를 확인하는 것은 어려운 방법입니다. 좀 더 쉬운 방법은 아래 금융투자협회에서 직접 확인해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
dis.kofia.or.kr
위 페이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S&P 500 및 QQQ ETF 수수료 비교가 궁금하다면 아래 페이지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ETF로 부자되기 4] ETF 수수료 비교
오늘 포스팅은 증권사별 ETF 수수료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에서 비교해 볼 ETF는 SPY, DIA, QQQ입니다. 1. SPDR S&P 500 ETF (SPY)설명: S&P 500 지수를 추종하며, 미국 주식시장의 대형
gpt-insight.tistory.com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자산에 대한 매수 추천이나 투자 권유의 의도가 없습니다. 투자 결정은 독자 본인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며, 본 글은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투자로 부자되기 4] 테슬라 차량용 반도체 (0) | 2024.11.06 |
---|---|
[반도체 투자로 부자되기 3] ECU 차량용 반도체란? (0) | 2024.11.06 |
[채권으로 부자되기 4] 장단기 금리차 확인 방법 (6) | 2024.11.05 |
[채권으로 부자되기 3] 장단기 금리차와 투자: 언제 어떻게 대응할까? (4) | 2024.11.05 |
[ETF로 부자되기 4] ETF 수수료 비교 (8) | 2024.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