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운동 23

새해 목표 운동하기 68kg 체지방 12%

작년 한해는 운동은 꾸준히 했었지만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이번 한해는 진짜 변화해보고자 합니다.원래 신년 목표가 그런 것 아닐까요?22년 5월 이후 꾸준히 인바디 점수 기준으로 71~75까지늘긴 했는데 작년 한해는 뭔가 크게 바뀐게 없었습니다.방황을 많이 해서 그런 걸까요? 아니면 정체기가 와서 그런걸까요올해는 좀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달성해보고자 합니다.68kg 체지방 12%현재는 67.1kg에 체지방률 20.4%입니다. ㅎㅎ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아래를 달성해야 합니다.현재 체중 67.1kg, 체지방률 20.4% 라면 체지방 무게 13.7kg이므로목표 체중 70kg, 체지방률 15%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체지방 무게 10.5kg 달성이 필요합니다.결과적으로 6kg의 근육량 증가 & 3kg의 ..

운동 2025.01.03

운동과 술, 함께 즐기는 현명한 방법은?

운동과 술을 균형 있게 즐기려면 알코올의 소화 시간과 근성장 원리를 이해하고, 섭취 타이밍을 신중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알코올이 체내에 미치는 영향과 근성장에 필요한 조건을 고려하면, 술을 마시면서도 운동 효과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알코올 소화 시간과 연관하여 운동과 술을 조화롭게 병행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1. 알코올의 소화와 분해 시간 이해하기알코올은 주로 간에서 소화 및 분해되며, 이 과정은 여러 요인에 따라 시간이 달라집니다:일반적인 분해 속도: 체내에서 알코올은 보통 1시간에 약 10g 정도 분해됩니다. 이는 맥주 한 캔, 소주 한 잔에 해당하는 알코올 양을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음주량에 따른 소화 시간: 소주 한 병에는 약 70g의 알코올이 들어있고, ..

운동 2024.10.14

운동할 때 술 먹으면 진짜 안되는 걸까?

운동 후 근육의 성장과 회복에는 단백질 합성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알코올은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이 단백질 합성 과정을 방해하고, 근육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아래에서 알코올이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알코올이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알코올은 호르몬의 불균형, 영양소 대사의 변화, 그리고 세포 내 단백질 합성 경로의 억제 등을 통해 근육 성장을 방해합니다. 이러한 영향들은 근육 단백질 합성을 저하시켜 운동의 효과를 감소시킵니다.1.1 엠토르(mTOR) 경로의 억제**엠토르(mTOR,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는 근육 단백질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 내 신호 경로입니다. 이 경로는 근육 성장과 ..

운동 2024.10.13

"체지방 20%→15%, 얼마나 걸릴까?"

체지방 20%에서 15%로 줄이는 것은 목표로 하는 체지방률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체지방 10% 이하로 감량하는 것보다는 상대적으로 수월하지만, 여전히 노력이 필요한 과정입니다. 체지방 감량은 식단 조절과 운동, 생활 습관의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며, 개인마다 체형, 대사 속도, 운동 강도에 따라 소요되는 시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체지방 20%의 남성이 체지방 15%로 줄이는 데 걸리는 현실적인 시간과 그 과정에서 필요한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1. 체지방 감소의 기초: 현실적인 감량 속도체지방 감량의 일반적인 속도는 주당 체중의 0.5~1%로 감량하는 것이 건강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체지방률로 봤을 때도 주당 0.5~1%의 체지방 감소가 가장 적절한 ..

운동 2024.10.11

운동이 노화를 촉진할까? 진실과 오해

헬스 운동이 노화를 가속화한다는 말이 종종 들리곤 합니다. 특히, 운동 중 발생하는 활성산소가 세포를 공격하여 텔로미어를 짧아지게 만들고, 그 결과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주장의 진실은 그리 단순하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운동이 활성산소와 텔로미어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헬스가 노화를 빠르게 할지, 오히려 늦출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헬스와 활성산소: 노화를 가속화할까?활성산소는 세포의 에너지 생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과도하게 생성되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산화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세포의 노화가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헬스 운동은 활성산소를 얼마나 생성하고, 이는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운동 2024.10.11

텔로미어를 보호하며 노화를 늦추는 운동 방법

노화는 누구나 겪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근육량 감소, 대사 저하, 체력 저하 등의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이 모든 것과 깊이 연관된 것이 바로 텔로미어입니다. 텔로미어는 세포 분열 시 염색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로, 그 길이가 노화 속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텔로미어의 길이를 유지하면 세포의 수명을 연장하고, 노화를 늦출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운동이 텔로미어를 보호하고 노화를 늦추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특히, 중강도 유산소 운동과 고강도 헬스 운동이 각각 어떻게 노화와 텔로미어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텔로미어를 보호하고 노화를 늦출 수 있는 최적의 운동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텔로미어와 노화의 관계텔로미..

운동 2024.10.10

어깨 통증 없이 사레레 완벽하게 하는 6단계 비법!

1. 시작 자세발 위치: 발은 어깨너비로 벌리고 서서 무게중심을 발바닥 중앙에 맞춥니다. 몸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된 자세를 취하세요.팔 위치: 팔은 몸 옆에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손목은 곧게 유지합니다.덤벨 그립: 손바닥이 서로 마주보는 중립 그립 자세로 시작합니다. 덤벨을 손가락으로 가볍게 감싸되 너무 꽉 쥐지 않도록 합니다.몸통 각도: 상체는 약 5도에서 10도 정도로 살짝 앞으로 기울입니다. 지나친 기울기는 허리에 부담을 줄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2. 팔의 각도와 이동팔꿈치의 굽힘: 팔꿈치는 약 10도에서 15도 정도 굽힌 상태로 유지하고, 팔을 들어 올릴 때도 이 각도를 유지하세요.팔의 이동 경로: 팔은 몸 옆에서 직선으로 올리지 않고, 살짝 앞쪽으로 이동합니다. 몸 옆과 약 30도에서 45도..

운동 2024.10.10

인슐린 저항성과 혈당 스파이크 어떻게 관리할까?

인슐린 저항성과 혈당 스파이크는 우리 몸의 혈당 조절과 대사 건강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입니다. 인슐린 저항성은 세포가 인슐린에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혈당 스파이크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하게 오르는 현상입니다. 이 두 가지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장기적으로 우리 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슐린 저항성과 혈당 스파이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1. 인슐린의 역할과 인슐린 저항성의 개념1.1 인슐린의 기본 역할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액 속의 포도당을 세포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때, 혈당은 세포에 흡수되어 에너지로 사용되거나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됩니다. 이를 통해 혈..

운동 2024.10.08

"체지방 15%→10%, 얼마나 걸릴까?"

체지방률을 15%에서 10%로 낮추는 것은 많은 노력이 필요한 과정이에요. 이미 어느 정도 운동을 하고 식단 관리를 하는 상태에서 체지방률을 더 낮추려면 세심한 계획과 꾸준한 실천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70kg 남성을 기준으로 체지방률을 15%에서 10%로 낮추는 현실적인 방법과 속도를 계산해 볼게요.1. 체지방 감량의 기본 원칙체지방 1kg은 대략 7,700kcal에 해당해요. 따라서 체지방을 감량하려면 섭취하는 칼로리보다 소비하는 칼로리가 많아야 하죠.안전하고 현실적인 체지방 감량 속도는 일주일에 0.5~1kg입니다. 이 속도를 유지해야 근손실 없이 건강하게 체지방을 줄일 수 있어요.2. 현재 상황과 목표 설정 (70kg 남성 기준)현재 체지방률: 15%목표 체지방률: 10%현재 체중: 70k..

운동 2024.10.06

인슐린 저항성, 원인과 개선방법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은 몸이 인슐린에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혈당 조절과 대사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당뇨병, 비만,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건강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슐린 저항성의 원인과 증상,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인슐린의 역할과 인슐린 저항성의 개념1.1 인슐린의 기본 역할인슐린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혈액 속의 포도당을 세포로 이동시켜 에너지로 사용하거나 저장하도록 돕습니다. 음식을 섭취하면 혈당이 상승하고, 이때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진행합니다:혈당 조절: 인슐린은 혈액 내의 포도당을 근육, 간, 지방 조..

운동 2024.10.0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