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PBR 2

[재무제표로 부자되기 4] 청산가치 전략 - 벤자민 그레이엄

청산가치란? 청산가치(liquidation value)는 기업의 자산을 모두 처분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순가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이 더 이상 운영되지 않고 모든 자산을 매각한 후, 부채를 상환하고 남는 금액으로 계산됩니다. 주로 부실기업이나 저평가된 기업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청산가치 = 유동자산 + 비유동자산 - 부채총계유동자산: 현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등 즉시 처분 가능한 자산비유동자산: 토지, 건물, 설비 등 장기 자산부채: 단기 및 장기 부채 청산가치 전략은 기업의 시장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낮을 때 매수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ABC 중소기업"시가총액: 200억 원유동자산: 500억 원비유동자산: 200억 원총부채: 400억 원ABC 중소기업의 청산가치:500억..

주식 2024.11.22

[재무제표로 부자되기 1] 재무제표 용어 정리

제가 공부하면서 헷갈리는 것들을 적어놓은 페이지입니다.결국 기업을 분석할 때, 순이익, 순자산, 매출액, 영업현금흐름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다음에는 주요 주식 대가들이 지표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빨간색은 숫자가 클수록 좋다는 의미이고,파란색은 숫자가 낮을수록 좋다는 의미입니다. 1. EPS (주당순이익)정의: 기업의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주당 수익성을 나타냅니다.공식: EPS = (순이익 - 우선주 배당) / 가중평균 발행주식 수해석: EPS가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는 의미입니다.2. PER (주가수익비율)정의: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주식이 기업의 수익에 비해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지표입니다.공식: PER..

주식 2024.11.0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