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할 매수의 중요성
시장 변동성에 대처하는 방법
주식 시장은 예측이 어렵고 변동성이 큽니다. 이러한 시장 환경에서 한 번에 모든 자금을 투자하기보다는 분할 매수를 통해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추는 전략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얼마나 떨어졌을 때 몇 번에 걸쳐 매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까요?
2. 분할 매수의 기본 원칙
1) 분할 매수란?
분할 매수는 투자금을 일정 금액으로 나누어 여러 번에 걸쳐 매수하는 전략입니다. 이를 통해 시장의 급격한 하락에 따른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
2) 왜 중요한가?
- 시장의 변동성을 활용하여 평균 단가를 낮출 수 있음
- 특정 시점에 과도한 자금을 투입하는 위험 방지
- 심리적 부담 완화
3. 얼마나 떨어졌을 때 매수해야 하는가?
그렇다면 얼마나 떨어졌을 때 매수하는 것이 좋을까요?
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excel을 통해 N% 떨어졌을 때 평균단가 그래프를 그려보았습니다.
아래 계산을 위한 전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각 차수의 매수 주식 수는 동일하다. (ex 100개씩 10번 매수)
2. 이전 매수가 대비 k% 빠졌을 때마다 N차 매수를 진행한다.
위 그래프를 보시면 분할 매수를 함으로써 평균단가가 낮아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 그래프만을 통해서는 어디서 매수하는 것이 좋을지 알아보기 어렵습니다.
예를들면 16% 떨어졌을 때마다 매수할 경우 평균단가를 아래와 같이 계산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차 매수 평균단가 | 2차 매수 평균단가 | 3차 매수 평균단가 | 4차 매수 평균단가 | 5차 매수 평균단가 | 6차 매수 평균단가 | 7차 매수 평균단가 | 8차 매수 평균단가 | 9차 매수 평균단가 | 10차 매수 평균단가 |
84 | 77.28 | 71.27 | 65.9 | 61.08 | 56.76 | 52.86 | 49.35 | 46.18 | 43.31 |
위 그래프를 미분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위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6% 지점 이후로는 초기 매수 가격에 관계없이 추가 매수를 더 진행해도 단가 절감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16% 떨어졌을 때마다 매수했을 때, 7차 매수시 실제 주가는 52% 수준입니다.
그렇다면 동일한 효과를 보려면 N차 매수시 몇 % 수준에서 매수를 해야 할까요?
위 그림을 통해 살펴보면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1회 매수시 이전 매수 평균 단가 대비 48% 하락할 때 마다 매수
2회 매수시 이전 매수 평균 단가 대비 36% 하락할 때 마다 매수
3회 매수시 이전 매수 평균 단가 대비 29% 하락할 때 마다 매수
4회 매수시 이전 매수 평균 단가 대비 24% 하락할 때 마다 매수
5회 매수시 이전 매수 평균 단가 대비 21% 하락할 때 마다 매수
6회 매수시 이전 매수 평균 단가 대비 18% 하락할 때 마다 매수
7회 매수시 이전 매수 평균 단가 대비 16% 하락할 때 마다 매수
8회 매수시 이전 매수 평균 단가 대비 14% 하락할 때 마다 매수
9회 매수시 이전 매수 평균 단가 대비 13% 하락할 때 마다 매수
10회 매수시 이전 매수 평균 단가 대비 12% 하락할 때 마다 매수
할 경우 위 52% 수준까지 주가가 떨어진다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S&P 500은 어디까지 떨어졌을까?
아래 자료는 S&P 500의 연간 수익률을 나타냅니다.
S&P 500의 경우
30% 이상 하락 약 3% 확률
20% 이상 하락 약 6% 확률
10% 이상하락 약 12% 확률
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hart of previous stock market returns 1928-2022 - Bogleheads.org
Discuss all general (i.e. non-personal) investing questions and issues, investing news, and theory. Topic Author Fremdon Ferndock Posts: 1181 Joined: Fri Dec 24, 2021 11:26 am Post by Fremdon Ferndock » Wed Jan 04, 2023 10:02 am Here's an interesting char
www.bogleheads.org
이 글은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특정 자산에 대한 매수 추천이나 투자 권유의 의도가 없습니다. 투자 결정은 독자 본인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며, 본 글은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투자자들이 자주하는 실수 7가지 (0) | 2025.02.12 |
---|---|
신기술 관련주 기대감 투자 방법 (0) | 2025.02.12 |
KOSPI와 미국 소비자 물가 지수 (CPI) 전년 대비 상관관계 (0) | 2024.12.07 |
국내 소비자 물가 지수 KOSPI 상관 관계 (0) | 2024.12.07 |
[체계적으로 부자되기 3] 10억원 달성 수익률 & 리스크 고려한 현실적인 투자 전략 (1) | 2024.12.02 |